아기를 가진 산모에게는 아기를 낳은 후 산후 조리가 산모의 건강을 위해 정말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산모들은 산후조리원과 산후도우미 중 선택을 하게 되는데요. 산후도우미는 정부에서 지원을 하기 때문에 산후조리원에서 나와 산우도우미까지 도움을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럼 정부에서 지원하는 산후도우미의 신청 방법과 가격, 기간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기준
- 신청방법, 지원금액 (이미지 참고)
- 신청기간, 산후도우미 지원기간
◼︎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기준, 방법, 가격, 기간
1.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기준
▶︎ 보건복지부에서는 산모가 아기를 출산후에 정부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조건에 맞는다면 비용을 지원받아 부담없이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기준 : 산후도우미 비용은 이용 기간과 태아, 다태아, 지원 유형, 소득수준, 출산순위에 따라 지원금이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득수준은 산모와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이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하여야 합니다.
▶︎ 예외) 산모와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이 기준 중위소득 150% 이상이라도 " 쌍둥이 이상 출산, 새터민 산모, 미혼모 산모, 둘째 이상 출산가정, 장애인 산모, 장애 신생아, 희귀질환 산모, 중증난치질환 산모, 셋째 이상 출산가정, 결혼이민 산모 "는 기준 예외 대상자 입니다.
2.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방법
▶︎ 신청방법 : 정부에서 지원하는 산후도우미 신청방법은 오프라인은 관할 시군구 보건소, 온라인은 복지로 홈페이지에 신청 가능합니다. 여러 산후도우미 업체 중 비교하여 선정하고 예약하시면 상담을 통해 기간 및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3주 이상 이용할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기간, 지원기간
► 신청기간 : 정부에서 지원하는 산후도우미를 신청할 수 있는 기간은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가능합니다. 임신 16주 이후 사산인 경우와 유산인 경우 30일이내 신청 가능합니다.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유효기간은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이며 미숙아와 선청성 이상아 출산으로 입원할 경우에는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 가능합니다. 산후도우미 지원기간은 신생아 1명 5일~20일, 쌍둥이 10일~20일, 3쌍둥이 15일~25일까지 입니다.
댓글